관계 대수의 종류
1. 셀렉트(Select)
- 연산자 : σ
- 릴레이션 R에서 조건을 만족하는 튜플 반환
2. 프로젝트(Project)
- 연산자 : π
- 릴레이션 R에서 주어진 속성들의 값으로만 구성된 튜플 반환
3. 조인(Join)
- 연산자 : ⋈
- 공통 속성을 이용해 R과 S의 튜플들을 연결해 만들어진 튜플 반환
4. 디비전(Division)
- 연산자 : ÷
- 릴레이션 S의 모든 튜플과 관련 있는 R의 튜플 반환
데이터베이스 이상
- 데이터의 중복성으로 인해 릴레이션을 조작할 때 발생하는 비합리적 현상
- 삽입 이상, 삭제 이상, 갱신 이상이 존재함
정규화(Normalization)
- 관계형 데이터 모델에서 데이터의 중복성을 제거하여 이상 현상을 방지하고,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해 무손실 분해하는 과정
- 함수적 종속성을 이용해서 연관성 있는 속성들을 분류하고, 각 릴레이션의 이상 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과정
- 잘못 설계된 관계형 스키마를 작은 속성의 세트로 쪼개어 바람직하게 만드는 것
비정규화(De-Normalization) = 반정 규화
- 정규화된 엔티티, 속성, 관계에 대해 성능 향상과 개발 운영의 단순화를 위해 중복, 통합, 분리 등을 수행하는 데이터 모델링 기법
- 높은 규모 확장성을 위해 사용되며, 자주 사용되는 Join의 반복을 줄일 수 있다.
- 의도적으로 정규화 원칙을 위배하는 행위
논리 데이터 모델링의 속성
개체, 속성, 관계
개체-관계 모델(ER Model)
-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데이터와 그들 간의 관계를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모델
- 요구사항으로부터 얻어낸 정보들을 개체, 속성, 관계로 기술한 모델
- 개체 : 사각형 / 관계 : 마름모 / 속성 : 타원
물리 데이터 모델링
- 논리 모델을 적용하고자 하는 기술에 맞도록 상세화해 가는 과정
인덱스 칼럼 선정 기준
- 분포도가 좋은 칼럼은 단독적으로 생산한다.
- 자주 조합되어 사용되는 컬럼은 결합 인덱스로 생성한다.
파티셔닝 기법의 종류
1. 레인지 파티셔닝
- 연속적인 숫자나 날짜를 기준으로 하는 파티셔닝
- 손쉬운 관리 기법을 제공하여 관리 시간의 단축이 가능
2. 해시 파티셔닝
- 파티션 키의 해시 함숫값에 의한 파티셔닝 기법
- 균등한 데이터 분할이 가능하고 질적 향상을 불러옴
3. 리스트 파티셔닝
- 특정 파티션에 저장될 데이터에 대한 명시적 제어가 가능한 파티셔닝 기법
- 분포도가 비슷하고 데이터가 많은 SQL에서 칼럼의 조건이 많이 들어오는 경우 유용
4. 컴포지트 파티셔닝
- 범위 분할 이후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재분할하는 파티셔닝 기법
- 큰 파티션에 대한 I/O 요청을 여러 파티션으로 분할할 수 있음
데이터 모델에 표시할 요소
구조(Structure)
- 논리적으로 표현된 개체/타입 간 관계
연산(Operation)
-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실제 데이터를 처리하는 작업에 대한 명세
제약조건(Constraint)
-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는 실제 데이터의 논리적 제약조건
'개발 > 자격증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정보처리기사 오답 정리(8. 연계 데이터) (0) | 2022.12.29 |
---|---|
정보처리기사 오답 정리(7. DB 기초 활용) (0) | 2022.12.27 |
정보처리기사 오답 정리(5. UI 설계) (0) | 2022.12.23 |
정보처리기사 오답 정리(4. UI 요구사항 확인) (0) | 2022.12.21 |
정보처리기사 오답 정리(3. 요구사항 확인) (0) | 2022.12.19 |